-
무좀발생 원인(동아에스티티vs대웅제약vs 휴온스) 에피나 코나졸경제공부 2024. 7. 26. 11:54728x90반응형
손발톱 무좀은 흔히 손이나 발에 무좀을 일으키는 원인균이 손발톱으로 전파돼 감염을 일으키는 피부질환입니다. 곰팡이에 속하는 피부사상균의 일종인 ‘적색 백선균(Trichophyton rubrum)’이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알려졌습니다.
무좀이라고 하면 발을 잘 안 씻어서 생긴다거나 굳이 병원에 갈 필요가 없는 가벼운 질환이라고 여기기 쉬운데요. 어디까지나 편견입니다. 증상을 방치하면 손발톱 형태가 변하고 피부에 염증이 생기거나 통증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즉시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하죠.
요즘처럼 덥고 습한 날씨는 무좀균이 증식하기 더없이 좋은 환경입니다. 건조한 봄철에는 조금 나아졌나 싶다가도 장마철만 되면 발가락이 간질간질해 밤잠을 이루지 못한다는 얘기도 들었습니다. 실제 피부과에도 7~8월에 손발톱 무좀 환자가 몰린다고 하더라고요.
병원을 찾으면 흔히 균에 감염된 손발톱에 발라서 사용하는 국소도포제를 처방해 줍니다. 물론 의사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도 있습니다.
국내 무좀약 시장은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을 합쳐 연간 3300억 원의 매출을 형성한다고 해요. 시장 규모가 제법 크죠? 그 중 에피나코나졸 성분의 국소도포제 ‘주블리아’가 선두를 달려 왔습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주블리아는 작년 한해 동안 318억 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주블리아는 본래 일본에서 개발된 전문의약품입니다.
동아에스티(170900)는 일본 카켄제약이 2014년에 개발한 주블리아의 국내 판권을 확보하고 이듬해 성수기를 겨냥해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당시에는 바르는 손발톱 무좀 치료제 중 유일한 전문의약품이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피부과 약은 독하다는 편견이 있잖아요?
편견 덕을 봤는지 몰라도 주블리아는 간독성이나 기존에 복용 중인 약과의 상호작용 문제로 경구제 복용에 부담을 느꼈던 환자들 사이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먹는 약 못지 않은 효과와 안전성, 편의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내 손발톱 무좀 치료제 시장을 빠르게 장악할 수 있었죠.
대웅제약(069620)은 올 2월에 에피나코나졸 성분의 제네릭 제품 ‘주플리에’ 허가를 받고 시장에 출시했습니다. 휴온스(243070)가 ‘에피러쉬외용액’을 출시했고 제뉴원사이언스, 오스코리아제약 등이 이달 들어 또 다른 제네릭 제품의 허가를 받았죠.
동아에스티가 경쟁 제품들과의 가격차를 좁히기 위해 약가를 자진 인하한 겁니다. 비급여 제품이라 약국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한 병에 7만 원이 넘던 약이 5만 원대까지 떨어졌다
제품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소비자 입장에선 선택권이 넓어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니 제네릭 의약품 제도의 순기능이라고 평가할 만 합니다728x90반응형'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보증권 미성년 비대면 계좌개설 후 OTP등록방법 (0) 2024.07.30 [삼성증권]모바일 신분증을 스마트폰에 발급받는 방법 (0) 2024.07.26 2024.07.25 미국뉴욕증시 (0) 2024.07.26 AIA생명보험 서비스 이용시간 안내 (0) 2024.07.23 SK증권 우편물 반송으로 출금금지 해지방법(주파수 해결방법) (0) 2024.07.22